본문 바로가기
집밥

가장 기본 재료로 맛있게 김밥 만들기

by 상상하는그곳 2024. 2. 15.
반응형

어릴 적 김밥은 소풍 갈 때 만 먹었어요. 

계란, 시금치 또는 부추나물, 단무지 들어간 김밥이 거의 기본이었고 분홍 소시지 들어가면 고급김밥이었습니다.

그나마 김밥이라도 싸 오면 다행이지만 이마저도 싸 오지 못하는 아이들이 많았어요. 

그래서 엄마는 친구들과 나눠 먹으라며 항상 넉넉하게 김밥을 싸주셨습니다.

김밥을 말고 있자니 그 친구들이 그리워집니다. 

 

요즘은 김밥 종류도 참 다양해졌습니다.

계란김밥, 참치김밥, 꼬마김밥, 당근김밥, 우엉김밥, 돈가스김밥... 일일이 이름을 나열하기 힘들 정도로 다양해졌지만

그래도 제가 제일 좋아는 맛은 기본 재료로 만드는 김밥이라 오늘은 요리사 입맛대로 만들어 봤습니다.

 

재료 : 김, 밥, 시금치, 당근, 단무지, 계란
양념 : 간장, 소금, 깨소금, 참기름, 매실액, 식초

 

 

계량 없이 최대한 집에 있는 재료를 이용한 얼렁뚱땅 만들지만 맛있는 김밥 만들기 시작합니다.

김밥 만들기

시금치 데치기깨소금 만들기
시금치 나물 무치기

 

시금치는 데쳐서 물로 씻은 다음 간장, 깨소금, 참기름 넣고 무쳐줍니다.

 

깨소금은 사용할 때마다 조금씩 만들어서 사용하면 고소한 맛이 더 강해져서 요리에 소질이 없는 제가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시금치는 삶으면 금방 물러지므로 끓는 물에 뒹굴뒹굴하다 건져낸다는 마음으로 삶습니다.

손으로 만졌을 때 줄기 부분이 물컹하면 건져내어 찬물에 씻어 준 다음 물기를 제거합니다.

 

계란 부치기
계란 부치기

 

계란은 소금으로 간 한 다음 잘 풀어서 프라이팬에 두꺼운 지단을 만든다는 마음로 조금 두껍게 만듭니다.

 

◎ 계란 신선하게 보관하기 : 계란의 숨구멍이 둥근 부분에 위치해 있어서 계란의 뾰족한 부분이 아래로 가고  둥근 부분을 위쪽으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근볶기당근볶기1
당근 볶아주기

 

당근은 채 썰어서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소금으로 간하면서 볶아 줍니다. 

이때 식용유대신 들기름을 사용하면 고소한 맛이 나면서 더 맛있어요.

저희는 당근을 푹 익히는 것을 좋아해서 뚜껑을 닫아서 익혀줬습니다.

 

햄 익히기햄
햄 익히기

 

마지막으로 햄은 흐르는 물에 씻은 다음 기름을 두르지 않은 프라이팬에 한 번 익혀줍니다.

 

햄을 물에 씻는 이유는 방부제 성분을 조금이라도 씻어 내기 위해서 인데요. 시간이 있으면 뜨거운 물에 담가 뒀다가 사용해도 됩니다.

 

계란, 당근, 햄 김밥재료
김밥재료 - 달걀, 당근, 햄

 

계란, 당근, 햄 불로 익히는 재료는 다 준비되었습니다.

 

밥에 양념하기
밥 양념하기

 

통깨, 소금, 매실액, 식초, 참기름을 넣어 밥은 밑간을 해서 사용합니다. 

 

된밥도 죽밥도 김밥 맛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김밥은 뭐니 뭐니 해도 밥이 가장 중요합니다.

 

밥을 짓는 데 필요한 물의 양은 어떤 종류의 쌀로 밥을 짓나, 얼마만큼의 찰기를 원하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보통 밥솥 내부나 쌀 포장지의 안내문을 보면 어느 정도의 쌀과 물의 넣어야 하는지 정량이 표기되어 있으므로 참고해서 밥 짓기를 하면 되겠습니다.

 

만일 표시된 부분이 없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 백미, 장립형 : 쌀 한 컵당 물 1 1/2컵 (쌀 240ml 당 물 420ml)

● 백미, 중립형 : 쌀 한 컵당 물 1 1/2컵 (쌀 240ml 당 물 360ml)  

● 백미, 단립형 : 쌀 한 컵당 물 1 1/4컵 (쌀 240ml 당 물 300ml)  

● 현미, 장립형 : 쌀 한 컵당 물 2 1/4컵 (쌀 240ml 당 물 520ml)  

 

김밥재료 준비 완료

 

김밥을 위한 모든 재료가 준비되었습니다.

오이가 없는 것이 아쉽습니다. 아들한테 심부름을 시켰더니만 자기가 먹지 않는 오이를 빼고 사 왔네요. 

 

김밥 말기
김밥 말기

 

당근은 항상 많이 준비한다고 해도 볶고 나면 양이 얼마 안 되어 조금 넣게 됩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채소 종류가 비싸지 않아서 많이 넣었는데 올해는 시금치가 금값이라 많이 준비하지 못했네요.

햄은 항상 2개를 넣어줍니다. 

 

모든 것이 비싸지니 집에서 싸 먹는 김밥마저도 빈곤해지는 것 같습니다.

 

완성된 김밥
김밥

 

햄, 계란, 당근, 시금치나물, 단무지 가장 기본적인 재료로 김밥을 말았습니다.

멸치육수에 계란 풀고 파 송송 썰어 넣어 휘리릭 끓인 다음 후주 조금 넣어서 같이 먹습니다.

 

김밥 한 줄을 통째로 들고 먹기도 하고 큼직하게 썰어서 먹기도 합니다. 

양쪽 볼이 볼록하도록 입안 가득 김밥으로 가득 찹니다.

이렇게 저녁 한 끼를 김밥으로 때웠습니다. 

 

즐겁고 행복한 식사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